조선족이 모르는 박정희 대통령

알타비스타7 작성일 16.11.29 16:39:20
댓글 2조회 1,360추천 0

박정희 대통령은 간도협약에 대비했었다.

 

 

 

박정희대통령

"30년 전 국회의 간도자료집 발간은
통일 이후 간도 영유권 문제 발생에 대비한 첫 국책사업이었다."
1975년 국회에서 발간한 간도자료집의 정식명칭은 ´간도영유권관계문서발췌´다.

 

1867년부터 1945년 사이에 작성된 일제의 기밀문서 가운데

간도영유권 관련 문서들의 번역본과 원문 영인본이 함께 수록돼 있다.



자료집 뒷부분에는 제한된 분량 때문에 미처 싣지 못한 기밀문서 목록도 들어 있다.

 

이 자료집 한쪽에는 ´일본 외무성 및 육해군성 문서´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일제 수뇌부의 핵심 자료들이 고스란히 담긴 이 책의 목차만 봐도 당시 일제의 식민지 경영과 대륙 침략정책이 얼마나 치밀했는지 쉽게 알 수 있다.

 

 

통감부서기관이 외무성정무국장에게 보낸 공문에는

토문감계사 이중하가 보관하던 문서 내용이 들어 있을 정도다.

아울러 국회의 간도자료집은 대한제국의 간도 정책이 어떠했는지도 살펴볼 수 있는 소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아직까지 원본이 발견되지 않은 대한제국의 공문서들이 많이 인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간도자료집 발간 사업은 당시 국회도서관장이던 강주진 박사의

제안에 따라 시작됐다.


일제의 기밀문서 복사본이 마이크로필름 형태로
미국 국회도서관에 보관돼 있음을 알게 된 강 박사는
미국 국회도서관의 협조를 얻으면 필름을 입수할 수 있다고 자신하고 당시 정일권 국회의장에게 도움을 청한다.
정 의장은 다시 박정희 대통령에게 건의해 필요한 예산을 배정받고 발간 사업을 추진한다.

일제 기밀문서에서 발췌 수록 국회도서관에 입수된 마이크로 필름은 모두 51책 분량으로 상당한 양이었다.
할당된 예산으로는 전체를 책으로 엮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자료의 발췌작업이 시작됐다.  
발췌작업은 당시 통일원 기획관리실장이자 간도연구가로 알려져 있던 노계현 전 창원대 총장이 맡았다.
노 전 총장은 3개월 남짓 자료를 선별했다.
공문과 각종 자료에 제목을 달고 연대별-종류별로 분류해서 국회도서관에 다시 이관했다.

이런 정황은 정 의장이 쓴 자료집 서문에 잘 나타나 있다.
정 의장은 자료집 발간을 위해 박정희 대통령이 특별 예산을 배정했음을 밝히고 있다.
당시 김용태 국회운영위원장도 "정부의 예비비에서 예산이 할애됐다"고 적고 있다.

노 전 총장은 "박 대통령이나 정 의장 모두 만주군관학교 출신이라 누구보다 간도 문제에 관심이 컸을 것"이라며
"하지만 단순히 최고통치권자의 관심 때문에 자료집이 발간된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국가가 예산을 지원하고 국회 산하기관인 국회도서관이 발간 주체였다는 것은
이 사업이 국책 사업으로 추진됐음을 말해준다.

"통일되면 국경 문제가 이슈로 부상"
1972년 7-4 남북공동성명에 따라 통일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것도
자료집 발간 사업에 크게 작용했다.
국민들 사이에는 금방이라도 통일이 될 것 같은 희망이 가득했다.
이런 분위기는 곧바로 통일 이후 닥칠 문제에 대한
전면 검토가 필요하다는 판단으로 이어졌다.

노 전 총장의 기억에 의하면 자료의 입수에서 문서 발췌까지 걸린 시간은 2년 정도다.
시기적으로 7-4 남북공동성명 이후 사회 분위기가
자료집 ?煞@? 어느 정도 견인했음을 추정할 수 있는 부분이다.
예산이 정부의 예비비에서 책정됐다는 점도 필요성을 느껴
급박하게 추진한 사업이었음을 추측케 한다.
통일 이후를 대비하는 첫 국책사업은 이렇게 이뤄진 것이다.

자료집 서문에는 "우리의 당면 과업은 조국의 통일이지만
통일이 성취되는 즉시 국경문제가 중대한 외교 문제로 등장할 것이 명약관화하다.
따라서 간도 문제에 대한 자료를 수집-정리하고 철저히 연구하는 것은
국가적인 중대사"라는 내용이 나온다.
국제분쟁으로 비화할 수 있는 간도문제에 대비하기 위해
국가 차원의 준비가 있어야 함을 역설하는 부분이다.

남북한의 화해 무드를 정치적으로 이용한 측면도 있었지만
통일 이후 직면하게 될 영토와 국경문제를 고민하고 자료집 발간을 통해
그때를 대비했다는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국회자료집 5개년 계획으로 추진 〈간도영유권관계문서발췌〉는
비매품으로 한정된 수량만 발간돼 간도를 연구하는 학자들 가운데도 소수만 소장하고 있다.
얼마나 만들어 어떻게 배포했는지에 대한 자료는 남아 있지 않아 파악이 쉽지 않다.

백산학회 육낙현 총무는
"백산학회가 소장하고 있는 간도자료집은 청계천 헌책방에서 구한 것"이라며
"그래도 국회에서 발간한 것이니 500부 이상은 배포됐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하지만 자료집 발간에 참여했던 노계현 전 창원대 총장은
"간도자료집 발간 과정에 대해 정확하게는 모른다"면서
"처음 의뢰를 받았을 때 예산이 넉넉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 자료를 담을 수 없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자료를 발췌할 수밖에 없던 당시 상황과
자료집이 소량으로 발간됐음을 짐작할 수 있는 증언이다.
국회자료집 발간 사업은 1974년 9월, 5개년 계획으로 시작됐다.
1집은 간도영유권과 관련한 문서를 모으고,
2집은 독립운동사 자료를 정리해 발간한다는 계획이었다.
간도자료집의 발간에 관여한 학자는
김용덕-이기백-노계현-윤병석 박사와 지도를 제공한 이종학 박사 등 5명이다.
당시 국회의원이던 신기석 박사는 원고의 해제와 교열을 맡았다.

현재 생존해 있는 사람은 노계현-윤병석 박사 두 명이다.
이 가운데 간도자료집 작업에 참여한 것은 노 전 총장이 유일하다.
윤병석 박사는 간도자료집 이후에 만들어진 독립운동자료집 발간에 관여한 것으로 확인됐다. 

148040502080749.jpg 

 


148040503972142.jpg
148040505811694.jpg
148040509093040.jpg

알타비스타7의 최근 게시물

정치·경제·사회 인기 게시글